합성 패턴(Composition pattern)으로 살펴보는 리액트 컴포넌트 설계 핵심
글을 읽고 났을 때의 상태
Composition Pattern
이 뭔지 깨달았다.Composition Pattern
이 왜 리액트의 핵심 개발 원리인지 이해했다.Composition Pattern
이 어떻게 리액트에서 활용되는지 파악했다.
들어가며
어떤 지식을 공부할 때 처음부터 와닿으면 좋겠지만, 뒤늦게 와닿는 경우가 많은 듯 하다.
나에게 있어서는 Composition pattern
이 그런 경우였다.
리액트에서 쓰이는 합성
이라는 개념의 핵심이기에 자주 접했고, 함수를 바탕으로 한 리액트를 통해 일상적으로 사용했으면서도 크게 와닿지 않았던 것 같다.
이번에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몇가지 컴포넌트들을 직접 구현하면서 이 개념의 의미가 💡! 하고 받아들여지게 되었다.
지금부터 내가 이해했던 개념을 정리할 겸, 정리한번 해보고자 한다.
Composition pattern이란?
컴포지션 패턴(Composition Pattern)
은 다른 말로 합성 패턴
이라고도 부른다.
객체지향 프로그래밍(OOP)
과 관련된 디자인패턴(Design pattern)
의 일종으로, 복합 객체(Composition)
와 단일 객체(Leaf)
를 동일한 컴포넌트(Component)
로 취급하여, 클라이언트에게 이 둘을 구분하지 않고 동일한 인터페이스를 바탕으로 사용하게 하는 구조이다.
설명보다 예시를 먼저 보는게 이해하기 쉬울 듯 하다.
컴포지션 패턴을 이야기할 때면 보통 파일 시스템 구조를 예로 많이 든다.
파일과 디렉토리 모두 보통 더블 클릭
혹은 열기
를 통해 사용할 수 있다.
둘은 대상만 다를 뿐이지, 사용하는 사용자 입장에서는 같은 동작을 수행한다.
이게 바로 컴포지션 패턴이다.
여기서 복합체 패턴은 파일과 디렉토리를 동일한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조작하기 위한게 목적이다.
위와 같은 특징을 갖고 있다. 위 다이어그램을 잘 보면 Component와 Composition(Directory)가 many:1 관계를 갖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Component : Interface로, Leaf와 Component를 하나로 묶고, 이들이 수행해야 하는 공통 동작을 정의
- Composition : 복합 객체, Leaf와 Composition을 내부에 저장하고 관리하는 역할
- Component 구현체(Leaf, Composition)들을 내부에서 리스트나 객체 등으로 관리
- add / remove 함수는 내부에서 단일 컴포넌트 구현체들을 저장하거나 삭제하는 역할을 수행
- operate를 수행시 내부의 리스트를 순회하며, 각 객체들의 operate를 실행
- Leaf : 단일 객체, 파일처럼 단순하게 내용물을 표시하는 역할
- Component의 인터페이스인 operate는 Leaf에서 실행 시 적절한 값을 반환
핵심은 Component
라는 추상메서드를 정의하고, Composition
에서 이를 구현하는 구현체들을 배열로 받아서 재귀(Recursive)
적으로 관리하는 것이다.
간단하게 정리한 글인데, 이와 관련해서 좀 더 자세하게 설명된 글이 있어서 추가적인 학습이 필요하면 아래의 글을 보면 좋을 것 같다.
대표적인 합성 컴포넌트의 사용 예시
앞서, 합성 패턴이란 무엇인지 이해하였다.
그러면 지금 부터 논의를 해봐야하는 것은 과연 프론트앤드에서 어떻게 활용이 되느냐는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좀 더 구체적으로 들어가서 모던 리액트에서 어떻게 활용되는지를 이야기하고자 한다.
최근의 프론트앤드 트렌드에서 리액트는 정말 뺴놓을 수 없는 존재가 되었으므로... 한번 살펴보자.
리액트와 합성 컴포넌트
리액트는 실제로 컴포넌트의 합성을 통해 복잡한 UI/UX를 구현할 수 있도록 설계하고 구현이 되었다.
이에 대한 근거 자료는 어렵지 않게 찾아 볼 수 있는데, 바로 아래와 같다.
합성 (Composition) vs 상속 (Inheritance)
리액트의 공식문서인데, 애초부터 합성을 권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비교적 최신 문서인데, 여기서도 합성 컴포넌트 방식을 바탕으로 튜토리얼을 진행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구체적인 사례
리액트에서 합성 컴포넌트 패턴이 쓰인다는 것도 알았으니, 이제는 좀 더 구체적인 요소를 살펴보자.
리액트의 설계 및 개발 철학 중 하나이기에, 사례는 정말 많지만 이를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사례는 4가지 인 듯 하다.
- Render Props
- Children Props
- Higher-Order Components (HOC)
- Compound Components
1번은 class
문법과 관련해서 이야기하고자 하고, 2, 3, 4번은 function
문법에 기반해서 이야기하고자 한다.
1. Render Props
Render Props는 컴포넌트가 함수 형태의 prop을 통해 렌더링 내용을 제어할 수 있게 하는 패턴이다.
이를 통해 컴포넌트 간의 로직을 공유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예시는 아래와 같다.
// Render Props 컴포넌트
class DataFetcher extends React.Component {
state = { data: null };
componentDidMount() {
// 데이터 fetching 예시
fetch(this.props.url)
.then((response) => response.json())
.then((data) => this.setState({ data }));
}
render() {
return this.props.render(this.state.data);
}
}
// 사용 예
const App = () => (
<DataFetcher
url="https://api.example.com/data"
render={(data) =>
data ? <div>Data: {data.value}</div> : <div>Loading...</div>
}
/>
);
Render Props 패턴을 사용하여 DataFetcher 컴포넌트가 데이터를 가져오는 로직을 캡슐화한 모습이다.
render={(data) => (
data ? <div>Data: {data.value}</div> : <div>Loading...</div>
)}
여기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렌더링 방식은 부모가 정의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이다.
클래스 문법이 생소할 수 있겠다는 생각에, 말해보자면 react의 class
문법에서는 render()
가 function
의 return
과 같은 역할이다.
그래서 위 구조를 보면 인자로 받아서, 이를 render()
에 넣어 랜더링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즉, component
의 operate()
가 render()
인 셈이라고 생각하면 좋을 듯 하다.
그리고 만약 위의 기법을 함수형 컴포넌트에서 사용하고 싶으면, 똑같이 props
에 컴포넌트 생성해서 넘겨주면 된다.
이에 관한 이 야기는 2번에서 하도록 하겠다.
2. Children Props
리액트 컴포넌트는 children prop
을 통해 다른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리액트를 접해봤다면 많이 사용해봤을 방식으로, 이를 통해 부모 컴포넌트가 자식 컴포넌트를 조합하여 복잡한 UI를 구성할 수 있다.
// 부모 컴포넌트
const Card = ({ children }) => {
return <div className="card">{children}</div>;
};
// 자식 컴포넌트
const CardHeader = ({ title }) => <h2>{title}</h2>;
const CardBody = ({ content }) => <p>{content}</p>;
// 사용 예
const App = () => (
<Card>
<CardHeader title="Card Title" />
<CardBody content="This is the card body." />
</Card>
);
이 예시에서 Card
컴포넌트는 CardHeader
와 CardBody
컴포넌트를 포함하여 하나의 카드 UI를 구성한다.
이를 통해 각 부분을 독립적으로 재사용하고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사실 이것도 따지고 보면 1번과 큰 차이가 없다. 구조분해 할당으로 {children}
으로 표기해서 그렇지 원래는 props.children
으로 표현해서 사용가능하기 때문이다.
3. Higher-Order Components (HOC)
HOC는 컴포넌트를 인자로 받아 새로운 컴포넌트를 반환하는 함수이다.
고차 컴포넌트
라고도 불리는데, JS의 고차 함수
에서 가져온 방법이다.
고차 함수는 자바스크립트의 근본 원리이기에.. 이에 대해서는 나중에 따로 다뤄보도록 하겠다.
어쨌든, HOC을 통해 컴포넌트의 기능을 확장하거나 공통 로직을 재사용할 수 있다.
// HOC 정의
const withLogging = (WrappedComponent) => {
return (props) => {
console.log(`Rendering ${WrappedComponent.name}`);
return <WrappedComponent {...props} />;
};
};
// 사용 예
const Button = ({ label }) => <button>{label}</button>;
const ButtonWithLogging = withLogging(Button);
// 렌더링 시 콘솔에 로그가 출력됨
<ButtonWithLogging label="Click Me" />;
사용 예시는 위와 같다.
HOC를 사용하면 Button 컴포넌트의 기능은 유지한 채로, 로깅 기능을 추가할 수 있으며, 다른 컴포넌트에도 동일한 HOC를 적용할 수 있다.
이에 대한 활용 기법의 또 다른 예로는 에러 처리가 있다.
에러 처리 HOC 예시
// HOC 정의
const withErrorBoundary = (WrappedComponent) => {
return (props) => {
try {
return <WrappedComponent {...props} />;
} catch (error) {
return <div>Error: {error.message}</div>;
}
};
};
// 사용 예
const ErrorComponent = () => {
throw new Error("Error occurred");
};
const ErrorComponentWithBoundary = withErrorBoundary(ErrorComponent);
이 예시에서 ErrorComponent는 에러를 발생시키는 컴포넌트이며, ErrorComponentWithBoundary는 에러 처리 HOC를 적용한 컴포넌트이다.
에러가 발생하면 HOC에서 에러를 처리하고, 에러 메시지를 출력한다.
이를 통해 컴포넌트의 에러 처리 로직을 재사용할 수 있다.
4. Compound Components
Compound Components 패턴은 관련된 여러 컴포넌트를 조합하여 하나의 복합 컴포넌트를 구성하는 방법이다.
이를 통해 더 직관적이고 선언적인 API를 제공할 수 있다.
// Compound Components 정의
const Tabs = ({ children }) => {
const [activeIndex, setActiveIndex] = React.useState(0);
return (
<div>
<div className="tab-headers">
{React.Children.map(children, (child, index) =>
React.cloneElement(child, {
isActive: index === activeIndex,
onClick: () => setActiveIndex(index),
})
)}
</div>
<div className="tab-content">{children[activeIndex].props.children}</div>
</div>
);
};
const Tab = ({ isActive, onClick, title }) => (
<button className={isActive ? "active" : ""} onClick={onClick}>
{title}
</button>
);
// 사용 예
const App = () => (
<Tabs>
<Tab title="Tab 1">Content of Tab 1</Tab>
<Tab title="Tab 2">Content of Tab 2</Tab>
<Tab title="Tab 3">Content of Tab 3</Tab>
</Tabs>
);
이 예시에서 Tabs 컴포넌트는 여러 Tab 컴포넌트를 자식으로 받아 활성화된 탭을 관리하고 렌더링하고 있다.
이를 통해 탭 UI를 쉽게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합성 패턴을 사용할 때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 재사용성 향상: 컴포넌트를 독립적으로 설계하여 다양한 상황에서 재사용할 수 있다.
- 유연성 증대: 컴포넌트의 조합 방식을 통해 다양한 UI를 동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 유지보수 용이: 각 컴포넌트가 독립적으로 동작하므로 수정이나 확장이 쉬워진다.
- 가독성 향상: 컴포넌트의 역할이 명확하게 분리되어 코드의 가독성이 높아진다.
하지만 마냥 좋은 것은 아니다. 다음과 같은 주의사항이 존재한다.
- 과도한 추상화 피하기: 합성 패턴을 남용하면 컴포넌트 계층이 지나치게 복잡해질 수 있다. 적절한 수준에서 합성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 명확한 API 설계: 컴포넌트 간의 상호작용이 명확해야 한다. 특히 Compound Components를 사용할 때는 부모와 자식 간의 인터페이스를 명확히 정의해야 한다.
- 성능 고려: 합성 패턴을 사용할 때 불필요한 리렌더링이 발생하지 않도록 최적화가 필요할 수 있다.
React.memo
나useCallback
등을 활용하여 성능을 최적화할 수 있다.
마무리
지금까지 Composition Pattern
이 무엇인지 원리를 파악하고, 이게 리액트에서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살펴보았다.
앞서 소개한 4가지 사례 말고도, 이 패턴은 정말 빈번하게 사용이 되고 있다.
조금 더 깊게 들어가서, 소개된 것 외에도 어떤 문제에 이 패턴을 활용해볼 수 있을지를 고민해보면, 본 글에 더해서 추가적인 성장을 이룰 수 있지 않을까 한다.